목록Spring (8)
일상기록

@ComponentScan으로 @Component 설정이 되어 있는 클래스를 찾아서 읽어낸다. @Configuration @ComponentScan( // @Configuration 가붙은 @Component를 가지고 있으므로 해서 자동등록 된다. 그걸 막아주는것 기존에 예제코드를 살리기위해 설정 excludeFilters = @ComponentScan.Filter(type = FilterType.ANNOTATION, classes = Configuration.class) ) public class AutoAppConfig {} RateDiscountPolicy, MemberServiceImpl, MemoryMemberRepository, OrderServiceImpl에 @Component를 추가시 빈을..

공유필드(클래스 전연변수)사용시 값이 공유되어 덮어써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자기자신(자기클래스내)에서 발생시 쉽게 찾아낼 수 있지만 복잡한 상속관계에 있는경우 찾기 힘들어진다. 특히 금액 관련된 이슈가 발생시 문제는 심각해 진다. 예시를 만들어 보면 public class StatefulService { private int price; // 상태를 유지하는 필드 public void order (String name, int price){ System.out.println("name = " + name + "price" + price); this.price = price; // order() 인자값에 따라 price변수가 바뀜 } public int getPrice(){ return price; ..

싱글톤 패턴 하나의 객체(bean)만 생성해서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기존에 일반코드이다. appConfig에서 MemberService를 생성하는 memberService()가 있다. @Test @DisplayName("스프링 없는 순수 DI컨테이너") void pureContainer(){ AppConfig appConfig = new AppConfig(); MemberService memberService1 = appConfig.memberService(); MemberService memberService2 = appConfig.memberService(); System.out.println("memberService1 = " + memberService1); System.out.println..

BeanFactory 스프링 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다. 스프링 빈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getBean() 을 제공한다. ApplicationContext BeanFactory 기능을 모두 상속받아서 제공한다. 빈을 관리하고 검색하는 기능을 BeanFactory가 제공해주는데, 그러면 둘의 차이가 뭘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는 빈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기능은 물론이고, 수 많은 부가기능이 필요하다. 메시지소스를 활용한 국제화 기능 예를 들어서 한국에서 들어오면 한국어로, 영어권에서 들어오면 영어로 출력 환경변수 로컬, 개발, 운영등을 구분해서 처리 애플리케이션 이벤트 이벤트를 발행하고 구독하는 모델을 편리하게 지원 편리한 리소스 조회 파일, 클래스패스, 외부 등에서 리소스를 편리하게..

잘 사용하진 않지만 순수한 자바 애플리케이션코드에서 스프링 컨테이너를 생성해서 사용할 경우빈을 조회할 일이 생길수 있다. 스프링 빈 조회 - 상속 관계 부모 타입으로 조회하면, 자식 타입도 함께 조회한다. 그래서 모든 자바 객체의 최고 부모인 Object 타입으로 조회하면, 모든 스프링 빈을 조회한다. public class ApplicationContextExtendsFindTest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TestConfig.class); @Configuration static class TestConfig{ @Bean public DiscountPolicy rateDiscountP..

스프링에서 객체를 관리하는게 스프링 컨테이너라고 공부했었다. Spring Container(참조) Spring Container, Bean 관련 최근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SpringBoot 관련 몰랐던 부분 및 알게된것을 정리한다. Spring Container 스프링 컨테이너는 스프링에서 자바 객체들을 관리하는 공간이며 자바 객체를 스프링에선 빈(Bean)이 sang-wook.tistory.com 그렇다면 스프링 컨테이너에 빈 등록 이후 DI가 이루어진 빈들을 BeanFactory(최상위)와 ApplicationContext라는 2개의 컨테이너로 제어하고 관리한다. 즉 제어권이 개발자에서 스프링으로 옮겨갔다고 이해하면 된다. 빈의 (Life Cycle) 생성, 관리, 제거를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