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일상기록

Spring DI(Dependency Injection), loC(Inversion of Control)란 본문

Spring

Spring DI(Dependency Injection), loC(Inversion of Control)란

너 구 나 2023. 4. 9. 13:51

스프링에서 객체를 관리하는게 스프링 컨테이너라고 공부했었다. 

Spring  Container(참조)

 

Spring Container, Bean 관련

최근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SpringBoot 관련 몰랐던 부분 및 알게된것을 정리한다. Spring Container 스프링 컨테이너는 스프링에서 자바 객체들을 관리하는 공간이며 자바 객체를 스프링에선 빈(Bean)이

sang-wook.tistory.com

그렇다면 스프링 컨테이너에 빈 등록 이후 DI가 이루어진 빈들을 BeanFactory(최상위)와 ApplicationContext라는 2개의 컨테이너로 제어하고 관리한다. 즉 제어권이 개발자에서 스프링으로 옮겨갔다고 이해하면 된다.

 

빈의 (Life Cycle) 생성, 관리, 제거를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것이다. 이런상황을 제어의 역전(IoC)라고 하며 아래와 같이 볼 수 있다.  

IoC : 내가 사용할 의존성을 누군가가 알아서 해주겠지

public class Sample01 {
	private static Studunt studunt;
	public Sample01(Studunt studunt) {
		this.studunt = studu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기존에사용 했던 내가 필요할때 생성해서 사용 
//		Studunt studunt = new Studunt(); 
//		studunt.arg = 5;
//		studunt.name = "홍길동";
		
		// 내가 아닌 외부에서 생성 
		StdConfig stdConfig = new StdConfig();
		Studunt studunt = new Sample01(stdConfig.studunt()).studunt;
		System.out.println(studunt);
		
	}
	static class Studunt {
		public String name;
		public int arg;
		
	}
	static class StdConfig {
		public Studunt studunt() {
			return new Studunt();
		}
	}
}

자바를 처음 배울때 객체를 사용하기위해 new 생성자로 객체 생성이후 사용하게 되었는데. 객체가 많아지면서 다양한 의존관계가 생기게 된다. ex) A Calss 에서 new B, new C (B, C객체)를 사용하고 있다면 A Class는 B, C에 의존하고 있다라고 볼수 있다. 이런 의존관계가 많아 지게되면 의존성이 높아지고 복잡하게 서로를 참조하다 보면

DIP(의존관계 역전의 원칙):하나의 추상클래스만 의존하는게 아닌 구현클래스까지 모든 클래스를 의존하게 될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OCP(소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는 열려 있으나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 변경하지 않고 확장할 수 있다고 했는데 현재 코드의 기능을 확장해버리면 다른 의존관계에 있는 코드들 까지 변경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Spring Container에서 객체(빈)의 생명주기를 관리함으로써 의존성을 낮추는 효과를 보고있다.

클래스 다이어그램

그림과 같은 관계를 가진 클래스가 있을때

의존관계 주입 DI(Dependency Injection)
OrderServiceImpl DiscountPolicy 인터페이스에 의존한다. 실제 어떤 구현 객체가 사용될지는 모른다.
의존관계는 정적인 클래스 의존 관계와, 실행 시점에 결정되는 동적인 객체(인스턴스) 의존 관계 둘을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

클래스가 사용하는 import 코드만 보고 의존관계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정적인 의존관계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아도 분석할 수 있다.
OrderServiceImpl MemberRepository , DiscountPolicy 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클래스 의존관계 만으로는 실제 어떤 객체가 OrderServiceImpl 에 주입 될지 알 수 없다.

실행 시점에 실제 생성된 객체 인스턴스의 참조가 연결된 의존 관계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런타임)에 외부에서 실제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실제 의존관계가 연결 되는 것을 의존관계 주입이라 한다.
객체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그 참조값을 전달해서 연결된다.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클라이언트가 호출하는 대상의 타입 인스턴스를 변경할 수 있다.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를 변경하지 않고,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관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References

Spring 입문 by 김영한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글톤 정리  (0) 2023.04.13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  (0) 2023.04.09
Bean 조회 관련  (0) 2023.04.09
새로운 변경사항 발생시 의존관계  (1) 2023.04.08
Spring Container, Bean 관련  (0) 2023.04.08